본문 바로가기
임직원 인터뷰

[인터뷰] ISO 인증 진동 기술자 회전기생산부 박만길 책임을 만나다

by 에디터 창현 2024. 1. 25.

 

작년 12월, 우리 회사에서 진동 분야 공인 자격인 ISO 18436-2의 최고 등급 Cat. IV 인증을 취득한 직원이 있습니다. 바로 회전기생산부 박만길 책임입니다. Cat. IV 인증은 취득자가 전 세계 200여 명, 국내에는 6명 밖에 없을 정도로 취득이 어렵다고 정평이 나 있습니다. 그 어려움을 딛고 인증을 획득한 박만길 책임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2007년 대졸 신입사원 공채로 입사해 회전기설계부에서 발전기 설계 업무를 담당하다 2015년 회전기생산부로 이동하여 현재까지 생산기술과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박만길 책임입니다.

 

ISO18436-2 (Vibration Analyst)에 대해 간략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는 기계 장치의 진동과 관련한 문제를 기술자가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과 자격 조건에 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수준에 따라 가장 낮은 등급인 Cat. I부터 가장 높은 등급인 IV까지 4단계로 등급을 부여하죠. 각 단계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전 단계의 자격 취득과 함께 각 등급에서 요구하는 업무 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또한 필수 교육을 이수하고, 마지막으로 자격 취득 시험까지 통과해야 합니다.

어떤 계기로 자격 인증 취득을 준비하게 되었나요?

 

생산기술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많은 어려움을 마주하다 보니 보다 전문적이고 공인된 이론과 기술에 대한 갈망이 생겼어요. 진동이 회전기의 주요 품질 요소인 만큼 국내/외 고객사에서도 ISO 자격 인증 취득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어요.

 

 

취득을 위해선 어떤 과정을 거쳐야 했나요?

 

먼저 52시간의 온라인 교육 이수한 후에, 오프라인 교육에 참여하고 시험을 치렀어요. 당연하게도 교육을 이수하기 전에 거의 완벽하게 내용을 숙지해야 했는데, 그 분량이 업무와 병행하기에는 꽤 많았죠. 영자로 쓰인 1,000페이지 이상의 책자 2권을 익히고, Cat. III까지의 내용도 복습해야 했으니까요.

 

그래서 부족한 학습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출근 이전 새벽 시간을 활용하고, 퇴근 후에도 독서실로 향하곤 했습니다. 주말에는 아이들이 일어나고 나면 마음이 약해져서 독서실로 향하는 발걸음이 떨어지질 않았어요. 그래서 아이들이 일어나기 전에 독서실에 가서 공부를 했어요.

교육에선 어떤 내용들을 배울 수 있었나요?

 

교육 자료에는 회전기를 다루며 접할 수 있는 모든 진동 관련 사항들이 총망라돼 있어요. 예를 들면 Data 취득, Signal Processing, Rotor & Bearing Dynamics 등 말이죠.

 

교육 간 소개 해주실 만한 에피소드가 있을까요?

 

워낙 바쁜 교육 과정이었다 보니 특별히 소개할 만한 에피소드는 없었지만, 다양한 국가에서 온 쟁쟁한 기술자들과 교육 내내 업무와 관련된 토론을 했던 것이 기억에 남아요.

 

 

자격 인증 취득에 있어 가장 큰 난관은 무엇이었나요?

 

Cat. IV의 경우 국내에 개설된 교육 과정이 없어, 해외 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시험을 통과해야 했던 점을 했던 점을 꼽을 수 있겠네요. 하지만 회사의 배려와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태국 소재 ISO 인증 교육 기관에서 자격 인증을 취득할 수 있었어요.

 

인증 취득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가장 큰 효과는 공신력 있는 자격 인증을 토대로 고객에게 높은 품질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다는 점이에요. 기술 관련 협의 시 보다 우리 회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고객을 설득할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래서 회전기 부문에서는 연 2명 Cat. III 취득을 목표로 자체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에요.

 

 

마지막으로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소중한 기회를 부여해 주신 회사에 감사의 말씀 드리며, 취득한 성과 잘 발휘하여 회사의 이익에 기여하도록 업무에 충실을 기하겠습니다. 준비하는 과정에서 독박 육아와 함께 열심히 내조해 준 아내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어요(웃음).

 

※ HE브리핑 컨텐츠의 무단복제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대외협력부와 사전 협의된 내용에 한해서 활용 가능합니다.